36개국 105명이 참여한 특별한 만남
교육부가 7월 10일 국회의사당 사랑재에서 '제23회 해외 한국어 교육자 국제학술대회' 축하행사를 개최했다는 소식입니다! 전 세계 36개국에서 105명의 한국어 교육자와 교육행정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빅데이터와 AI 시대에 맞는 한국어교육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23년 역사의 소중한 전통 📚
이 학술대회는 2003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23회째를 맞는 역사 깊은 행사예요.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어 교육자들의 상호 교류와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와 국제한국어교육재단이 함께 개최하고 있답니다. 올해부터는 해외 정규 초·중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에 더욱 집중한다는 의미로 '재외'에서 '해외'로 명칭을 변경했어요!
빅데이터 시대, 한국어교육은 어떻게 변화할까? 💻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빅데이터시대, 지속 가능한 한국어 교육'이에요. AI와 빅데이터 기술이 교육 환경을 빠르게 바꾸고 있는 만큼, 한국어교육도 이런 변화에 발맞춰 발전해야 한다는 취지랍니다. 전 세계 교육자들이 모여 경험을 나누고 함께 해답을 찾아가는 거죠!
한국어교육 발전에 기여한 분들께 표창! 🏆
축하행사에서는 한국어교육 발전에 특별히 기여한 교육자 5명에게 교육부장관 표창이 수여될 예정이에요. 특히 주목할 만한 몇분을 추려서 소개해드리자면,
- 두아르테 밀리치 록사나 유디스 (파라과이): 중남미 최초로 한국어가 제2외국어 과목으로 채택되는 데 기여
- 응웬 티 히엔 (베트남): 한국어·한국문화 확산과 한국어 교원 양성에 기여
한국어, 전 세계에서 인기 급상승! 📈
한국어 인기가 정말 대단하다고 하는데요. 2024년 기준으로 한국어는 전 세계 46개국 2,526개 학교에서 정규 과목으로 채택되어 운영되고 있어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K-문화 콘텐츠의 전 세계적 인기 등에 힘입어 앞으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답니다!
교육부의 적극적인 지원 계획 🚀
교육부는 높아진 한국어교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 한국교육원 4곳 신설 (시애틀, 멕시코, 인도, 인도네시아)
- 총 22개국 47개원으로 확대
- '해외 한국어교육 지원센터' 7월 말부터 운영
- 데이터 기반 국가별 맞춤형 한국어교육 추진
하유경 글로벌교육기획관은 "전 세계 한국어 교육자들이 열정과 자부심을 가지고 현지 한국어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육부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