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님! 주말 잘 보내셨을까요?
마음이 요동치는 때도 있겠지만, 때때로 평온하고 또 즐거운 일들이 더 많으시길 바라며 오늘의 똑스레터도 시작해보겠습니다☺️ |
|
|
등록금 걱정 끝! 2026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이 시작됐어요 💰
2026년 새 학기를 준비하는 예비 대학생과 재학생 여러분!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이 등록금 부담을 덜어드릴 국가장학금 신청을 받고 있어요.
언제,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
신청 기간: 2025년 11월 20일(목) 오전 9시 ~ 12월 26일(금) 오후 6시
신청 대상:
✅ 신입생 (고3, 재수생 등 입학예정자)
✅ 재학생, 복학생
✅ 편입생, 재입학생
✅ 모든 대학생!
💡 중요! 신입생은 최종 합격 여부와 상관없이 신청 가능해요. 재학생은 1차 신청이 원칙이니 꼭 이 기간에 신청하세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
소득 구간별로 지원 금액이 달라요:
기초·차상위: 등록금 전액! 🎉
1~3구간: 연 600만 원
4~6구간: 연 440만 원
7~8구간: 연 360만 원
9구간: 연 100만 원
다자녀 가구는 더 많이 받아요!
- 8구간 이하 셋째 이상: 등록금 전액
- 첫째·둘째도 구간별 추가 지원 있어요
국가장학금만? 다른 혜택도 함께 신청하세요! 🏠💼
이번 신청 기간에는 세 가지를 한 번에 신청할 수 있어요:
📌 국가장학금: 등록금 지원
📌 주거안정장학금: 원거리 진학 학생의 주거비 지원 (기초·차상위 대상)
📌 국가근로장학금: 교내·외 근로 기회 + 장학금
신청 방법은 간단해요!
온라인 신청: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www.kosaf.go.kr)
- 이동통신 앱 '한국장학재단'
- 24시간 신청 가능 (단, 마감일은 오후 6시까지!)
도움이 필요하다면?
📞 전화 상담: 1599-2000
🏢 전국 재단 센터 방문 상담 가능
놓치지 마세요! ⏰
12월 26일(금) 오후 6시까지 꼭 신청하세요. 특히 재학생 여러분, 1차 신청이 원칙입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고 새 학기 등록금 걱정 덜어보세요! ✨📝 |
|
|
'역대급 불수능' 2026 수능!
오답률 99% 문항까지 등장
|
|
|
모든 지표가 '어려웠다' 증명 📉
2026수능이 수험생 체감 난도가 확실히 높았던 시험으로 나타났어요! 오답률, 가채점 배치표, 원점수 1등급컷, 만점자 수 등을 조합해 분석한 결과, 모든 지표가 '불수능'을 가리키고 있답니다. 평이했던 2025수능보다 확실히 어려웠고, '역대급 불수능'이었던 2024수능에 준하는 난이도였어요!
충격의 오답률, 국수영 전 영역 '역대급'
📖 국어: 오답률 78% 문항 등장
공통 12번이 최고난도 문항으로 꼽혔어요. 오답률이 78%에 달하며 최상위권을 가르는 핵심 문항으로 지목됐답니다. 열팽창 관련 개념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하고 적용하는 문제였는데, 선형 열팽창 계수와 곡률 등 개념 간 관계를 구체적으로 물어 변별력이 높았어요.
6번(보증 채무 관련 법적 이유 추론) 역시 오답률 69%로 어려웠고요. 표준점수 최고점은 145-149점으로, 지난해 139점보다 6-10점이나 높아질 전망이에요!
🔢 수학: '확통런' 속 오답률 99% 충격
올해 확률과통계 응시자가 57.1%로 통합수능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확통이 까다롭게 출제돼 충격을 안겼어요. 확통 22번 오답률이 무려 99%로 정답률이 1% 수준에 그쳤답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그래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문항이었어요.
확통 21번 오답률 99%, 30번 98%로 고난도 문항의 정답률이 1-3% 수준이었던 셈이에요. 미적분과 기하도 21번, 22번, 30번이 모두 87-98% 오답률을 기록했답니다.
🌍 영어: 절대평가인데 1등급 비율 4%
절대평가인 영어 1등급 비율이 4% 내외로 예상돼요. 상대평가 1등급 비율(4%)과 비슷한 수준이라니, 절대평가임에도 상당히 까다로웠던 거죠! 33번과 34번 오답률이 80%에 달했어요.
영어가 어려워지면서 수능최저를 맞추지 못했다고 판단한 수험생들이 논술고사 응시를 포기하는 경우도 늘어났답니다. 실제로 수능 직후 논술고사 응시율이 지난해보다 2-5%p 하락했어요.
합격선 전반적으로 하락 📊
입시기관 발표 배치표를 보면 최상위권 학과 예상 합격선이 전년 대비 낮아졌어요
- 서울대 의예: 294-295점 (지난해 297-298점, 3점 하락)
- 연세대 의예: 293-295점 (지난해 296-297점, 3점 하락)
원점수 기준 합격선이 낮아졌다는 것은 고득점 수험생이 그만큼 줄었다는 의미랍니다!
1등급컷, 2024 불수능과 비슷 ⚖️
원점수 1등급 추정컷이 평이했던 2025수능보다 낮고, 불수능이었던 2024수능과 비슷한 수준이에요.
- 화작: 89-91점 (2025수능 92-94점, 2024수능 87-89점)
- 언매: 84-87점 (2025수능 90-92점, 2024수능 76-86점)
- 수학 확통: 89-93점
- 수학 미적: 86-89점 (비교적 평이)
- 수학 기하: 86-99점 (까다로움)
만점자 단 3명, 지난해 11명 대비 대폭 감소 🏆
1현재 파악된 만점자는 3명이에요. 지난해 11명에서 대폭 줄어든 수치랍니다! 이는 '불수능'이었던 2022수능/2024수능의 1명 다음으로 적은 수준이에요. 최근 10년간 만점자 10명 이상이었던 2016수능(16명), 2018수능/2020수능(15명)과 비교해도 현저히 적은 수준이에요.
결론💥 확실한 '불수능'
2026수능은 역대급 불수능이었던 2024수능만큼은 아니지만, 평이했던 2025수능보다는 확실히 어려운 불수능이었어요! 특히 '확통런' 응시자들이 예상과 달리 높은 난도를 체감했고, 영어 절대평가임에도 1등급 비율이 4%에 그치면서 수능최저 충족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수영 전 영역에서 고난도 문항의 체감 난도가 전례 없이 높았던, 진정한 '불수능'이었네요! 😓
|
|
|
📢 새로워진 똑스로 공부해 보세요!
학생들이 기능을 더 쉽게 찾고,
스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UIUX를 개편했어요!
선생님과 학생이 함께 사용하는 도구인 만큼,
앞으로도 더 편리한 학습 환경을 만들기 위해
똑스가 계속 변화해 나가겠습니다 ☺️
|
|
|
(주)큐레아 contact@curea.co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6(서린동) 광화문우체국 5층 인큐베이팅센터수신거부 Unsubscribe |
|
|
|
|